‘성 베드로의 십자가형’
인간의 본성에 대해선 동양과 서양에서 오랫동안 토론해왔습니다. 동양의 경우 맹자는 성선설(性善說)을 내놓았고, 순자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했습니다. 서양의 경우에는 장 자크 루소가 성선설에 가까운 이론을 제시했다면, 토머스 홉스는 성악설에 가까운 이론을 제기했습니다. 한편 존 로크는 인간은 태어날 때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백지설(白紙說)을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글을 시작하며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 것은 오늘 제가 소개할 화가가 바로 이 인간의 본성에 대해 질문을 던지게 하는 문제적 인물이기 때문입니다.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1571~1610)입니다.
빛의 마술사
카라바조가 남긴 작품은 극적으로 강렬하지만, 더욱 극적인 것은 그의 삶 자체입니다.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난 그는 젊은 나이에 큰 명성을 얻었지만, 평생 폭행을 일삼았고 살인을 저지르기도 한 사람입니다.
카라바조는 르네상스와 매너리즘을 뒤이은 초기 바로크 회화의 대표 화가입니다. 그는 ‘빛의 마술사’라고 불렸습니다. 그의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밝음과 어두움의 대비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작품의 긴장도를 극적으로 높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이 빛의 화가라면 먼저 네덜란드의 하르먼손 판 레인 렘브란트를 떠올리는데, 렘브란트는 카라바조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렘브란트뿐 아니라 벨라스케스, 루벤스, 라 투르 역시 카라바조의 작품으로부터 작지 않은 영감을 받았습니다.
카라바조는 많은 걸작을 남겼습니다. 그가 그린 종교화는 결정적 순간을 포착한 역동적 구성으로 유명합니다. 이탈리아의 로마 산타 마리아 델 포폴로 성당의 체라시 예배당에 있는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The Crucifixion of St. Peter, 1601)’은 그 가운데 하나입니다.
널리 알려졌듯이 초대 교황은 그리스도의 첫 번째 제자인 성 베드로입니다. 그리스도의 부활 이후 로마로 건너간 베드로의 최후는 감동적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그리스도와 같은 형벌을 받을 자격이 없다면서 머리가 아래로 향하는 십자가형을 요구해 순교했다고 전해집니다.
카라바조는 베드로의 순교 장면을 특유의 역동적 구성과 명암 대비 효과를 바탕으로 화폭에 담았습니다. 카라바조가 작품에 담은,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리는 베드로의 고뇌에 가득 찬 눈빛과 표정을 보며 저는 마음이 무겁고 괴로웠습니다.
베드로는 지금 죽음을 두려워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세 번이나 그리스도를 부정한 자신을 마지막으로 참회하는 것일까요. 그가 그린 베드로와 형을 집행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너무나 리얼해서 이 그림을 보고 있는 사람도 베드로와 함께 십자가형의 고통을 감당해야 할 것 같은 두려움을 느끼게 합니다.
“주여, 어디로 가시나이까?(Quo Vadis Domine?)” “네가 나의 형제들을 버리기에 다시 한 번 십자가에 못 박히러 로마로 간다.” 이 대화는 로마 감옥에서 탈옥한 베드로가 그리스도를 만났을 때 주고받은 이야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리는 고통을 기꺼이 감당할 수 있었던 베드로는 믿음과 신앙의 승리자였다고 생각합니다. 그가 순교한 자리에는 성 베드로 대성당이 세워졌는데, 이 대성당 광장에 가면 한쪽엔 천국의 열쇠를 든 베드로의 모습을, 다른 한쪽엔 칼을 든 바울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자연주의적 화풍
카라바조가 처음부터 종교화에 몰두한 것은 아닙니다. 초기에 그는 ‘병든 바쿠스’를 비롯해 뛰어난 인물화와 풍속화를 남겼습니다. 능숙한 필치로 인물들의 생생한 표정을 담은 카라바조의 솜씨는 많은 이의 관심을 불러 모았고, 그의 이런 재능은 당시 권력과 재력을 갖춘 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후견인이 되도록 했습니다.
이탈리아와 전 유럽에서 카라바조의 명성이 높아진 것은 일련의 종교화를 그린 후였습니다. 카라바조 이전 르네상스 시대에 종교화의 표준을 제시한 이는 라파엘로 산치오입니다. 여러 성모상과 ‘그리스도의 변용’ 같은 작품에서 볼 수 있듯, 라파엘로는 기독교의 성스러움을 표현하는 데 탁월한 재능을 보였습니다.
종교화가 갖춰야 할 미덕은 일반 시민이 작품을 보고 성스러움을 느끼게 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신앙심을 더욱 굳게 할 수 있는 종교적 공감은 성화가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이겠지요.
라파엘로나 카라바조가 살았을 당시 성당에 걸린 그림들은 오늘날의 텔레비전과 영화 같은 기능을 대신했습니다. 그림에 담긴 이미지는 관람하는 이에게 선명하고 강렬한 인상을 남겼고, 그 인상은 종교적 경건함과 신앙심을 강화했습니다.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되, 인간을 넘어선 신의 모습을 담은 성화를 보면서 당시 많은 이가 자신의 종교적 믿음을 더욱 굳게 한 것으로 보입니다.